공머생의 공부노트

논문 초짜 탈출기 (이공계 논문 작성법) 1편_연구를 시작해라 본문

연구 분석법/이공계 논문 작성

논문 초짜 탈출기 (이공계 논문 작성법) 1편_연구를 시작해라

용감한공대생 2025. 3. 21. 16:05
반응형

최근들어 다들 졸업식을 하고 대학원에 진학하는 친구들도 늘고 있고 그렇지 않다면 대학교를 졸업하기 위해 학위 논문을 작성하려는 사람이 자주 보이는 것 같다.

 

실제로 학부 과정에서 좋은 논문을 작성하거나 그런 경험을 해보기에는 쉽지 않기에 다들 정말 어려운 시간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석사, 박사과정이라면 자신의 주제와 관계 없이 그런 논문을 국제 저널에 제출해야 하기에 더욱더 어려워 할수밖에 없다. 

 

나는 정말 운이 좋아서 학부 1학년때 연구생을 시작해서 1년정도 내 연구를 스스로 견인했고 (조금 버려진게 더 적절한....) (그래도 교수님 사랑해요) 그러다가 시작한지 1년 반 정도에 연구 결과가 나와 국제 논문에 투고를 진행했다. 

 

내 연구분야는 주로 전기화학과 재료과학이라 전기화학의 정신나간 실험 및 출판 속도와 재료과학 특유의 정신나간 높은 IF로 학부 2학년때 국제 논문 출판을 진행했다. 

 

 

지금 생각하면 본인이 생각해도 신기하긴 하지만.....사실 정말 운이 좋아서 국제 논문을 출간할 수 있었다고 봐야한다...

 

그래서 이제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는 4학년으로서 나중에 논문을 쓰기 희망하는 학부생들과 내 관련분야를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사실 영어공부 하기 싫어서) 논문을 쉽고 정확하고 빠르게 작성하는 썰을 조금 풀어보고자 한다. 

 

내 작지만 소중한 첫 논문,,,,,

 

지금부터 설명하는 내용은 전문가를 위한 논문 가이드라기 보다는  학사, 석사급의 연구 초보자들을 위한 간단한 가이드에 가깝다. 매우 수준 높은 글쓰기는 나중에 내가 그 수준이 되면 올려보겠다..........

 

 

1.1 내고 싶은 논문을 찾아라

연구를 시작하는 캡스톤, 종설 혹은 실제 연구를 수행해야하는 석박사의 경우에는 대부분 자신의 연구주제를 잘 알고 있을것이다.

 

하지만 연구주제를 잘 아는 것과 논문을 작성하는 것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논문을 작성하고 저널에 투고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창의성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의 학자들의 상식적인 인정을 받아야 한다. (이를 peer review system이라고 함)

 

그래서 국제 저널에 투고하기가 더욱 더 어려운 것이다....... 작성한 논문의 완성도, 적합도, 가치 등을 전세계의 석학이나 그 분야의 연구자들이 최소 5명 이상 여러분이 작성한 논문을 검토하게 된다. 

 

그렇기에 초반에 논문을 위한 사전조사가 매우 깊어야 한다. 

 

초반에는 자료를 찾는다는 마인드가 가장 중요하지 않나 싶다. 자신의 연구주제에 대해 발표된 선행 논문을 최대한 찾고 자신과 겹치는 연구가 없어야만 논문 작성이 가능하다. 

 

 

 

자료를 찾는 방법에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google scholar, web of science가 가장 사용하기 편하고 확실한 것 같다. AI를 쓰는 방법은 나도 공부하고 있기에.......이건 나중에....

 

 

사실상 google scholar만 사용해도 문제는 없다고 생각한다. web of science는 상세한 설정이 가능하고 여러가지 추가 정보를 보기 쉽게 주는 편이지만 필터를 잘못 쓰면 자칫 중요한 자료를 날릴 수 있으니 조금 조심해야 한다. 리뷰 논문을 작성한다면 web of science를 추천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