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rude
- 슬립계
- 에너지 역학
- 흡광
- 빛의 손실
- 에디슨의 패배
- 전기장이 가해진
- 재료열역학
- 일상
- 화합물 반도체
- 륀트겐
- 분해전단응력
- 전자의 속도
- 3 o'clock things
- 결정립
- X선 기초
- von laue
- X선 공학
- laue
- 라만 분석기
- 재료과학
- 결정구조학
- 특성스펙트럼
- 그루데 이론
- 라만 현상
- Raman
- X선
- 라만 분석
- 연속스펙트럼
- X선의 발견
- Today
- Total
목록연구 분석법/이공계 논문 작성 (3)
공머생의 공부노트

일종의 쉬어가는 시간으로 논문에 들어가는 그림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려고 한다. 논문에서는 자신이 연구한 분야에 대해서 새로운 이해나 접근 방법을 세상의 사람들에게 공유하고 인정받는 하나의 기회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사람들은 같은 분야가 아니라면 대체로 그 분야에 관심을 전혀 안가지기도 하고 "왜 이런 연구를 하는지" "왜 이런 방법을 사용해야만 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실 이건 과학자의 종특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특히 한 분야에 깊게 들어가는 사람들의 경우 (특히 이론물리학) 다른 과학자의 연구에 대해 깊게 이해할 시간 및 여력이 부족하기에 내가 한 연구에 대해 설명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ToC image 란 자신의 연구에 설명하는 일종의 알기 쉬운 미리보기..

너무 당연하게도 논문을 작성하는 순간은 연구가 전부 마무리 된 순간이다. 아마 여러분은 여러분의 교수님 혹은 박사님께 연구를 마무리 하고 이제 논문을 써보자는 말을 들었을 것이다. 바로 그때가 고통이 시작되는 순간이다 ㅎ 이때부터 본격적인 논문 작성을 위한 과정을 시작해야 한다. 2.1 PPT로 draft를 만들자가장 먼저 해야하는 것은 ppt로 자신의 연구를 설명하는 figure를 만드는 과정이다. 사실 이공계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글보다는 그림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논문에 들어가는 글은 그림에 있는 데이터 표를 풀어서 설명하고 미처 설명하지 못했던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 가깝다. 연구를 진행해본 사람은 공감하겠지만 일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자들은 말보다는 데이터를 보고 의견을 공..

최근들어 다들 졸업식을 하고 대학원에 진학하는 친구들도 늘고 있고 그렇지 않다면 대학교를 졸업하기 위해 학위 논문을 작성하려는 사람이 자주 보이는 것 같다. 실제로 학부 과정에서 좋은 논문을 작성하거나 그런 경험을 해보기에는 쉽지 않기에 다들 정말 어려운 시간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석사, 박사과정이라면 자신의 주제와 관계 없이 그런 논문을 국제 저널에 제출해야 하기에 더욱더 어려워 할수밖에 없다. 나는 정말 운이 좋아서 학부 1학년때 연구생을 시작해서 1년정도 내 연구를 스스로 견인했고 (조금 버려진게 더 적절한....) (그래도 교수님 사랑해요) 그러다가 시작한지 1년 반 정도에 연구 결과가 나와 국제 논문에 투고를 진행했다. 내 연구분야는 주로 전기화학과 재료과학이라 전기화학의 정신나간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