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X선의 발견
- 라만 분석
- 흡광
- 라만 현상
- 빛의 손실
- 전자의 속도
- 라만 분석기
- 3 o'clock things
- 연속스펙트럼
- 특성스펙트럼
- 슬립계
- 화합물 반도체
- X선 공학
- X선 기초
- 그루데 이론
- 분해전단응력
- 결정구조학
- Raman
- X선
- 전기장이 가해진
- drude
- 결정립
- 재료과학
- 재료열역학
- 에디슨의 패배
- von laue
- laue
- 륀트겐
- 에너지 역학
- 일상
- Today
- Total
공머생의 공부노트
논문 초짜 탈출기 (이공계 논문 작성법) 3편_ToC or Scheme 본문
일종의 쉬어가는 시간으로 논문에 들어가는 그림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려고 한다.
논문에서는 자신이 연구한 분야에 대해서 새로운 이해나 접근 방법을 세상의 사람들에게 공유하고 인정받는 하나의 기회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사람들은 같은 분야가 아니라면 대체로 그 분야에 관심을 전혀 안가지기도 하고 "왜 이런 연구를 하는지" "왜 이런 방법을 사용해야만 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실 이건 과학자의 종특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특히 한 분야에 깊게 들어가는 사람들의 경우 (특히 이론물리학) 다른 과학자의 연구에 대해 깊게 이해할 시간 및 여력이 부족하기에 내가 한 연구에 대해 설명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ToC image 란 자신의 연구에 설명하는 일종의 알기 쉬운 미리보기 같은 것이다.
3.1 ToC image란?
정의가 모호한 감은 있지만 TOC 혹은 대표 scheme이라고 하면 그 연구를 한눈에 설명하는 이미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위의 ACS NANO에서의 current issue에 들어가보면 논문 제목만 있는 것이 아닌 알기 쉬운 그림이 들어가 있다. 만약 교수님께서 ToC에 관련된 이야기를 하시면 다음과 같은 미리보기 이미지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Graphical Abstract, ToC, Scheme 전부 거의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만 구분해야 할 것은 어떤 논문은 ToC를 추가적으로 제출하라고 하는데 (특히 ACS계열) 이는 정말 논문의 figure중에 하나로 들어가는 것이 아닌 미리보기 이미지를 말하는 것이다.
대부분은 ToC라고 하면 figure 어딘가에 들어가는 이해하기 쉬운 이미지 혹은 연구의 핵심 이미지를 설명하는 그림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이런 ToC가 예쁘고 적절하다면 accept될 확률이 조금은 올라간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보다 연구의 수준과 좋은 데이터가 100배 이상 영향이 크다)

이 그림이 내가 제출했던 ToC이다. 이 모든 그림을 내가 그리지는 않았고 공저자들의 기여로 인해 여러번 수정되고 회의를 거쳐 마지막에 제출된 버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내 연구는 두가지 화합물을 결합시켜 (1) 광 흡수율을 높이고, (2) 의도적인 격자 결함으로 촉매 작용을 만들고, (3) 나노구조를 형성하고 표면적 + 안정성을 높이는 연구였다.
아주 상당히 복잡하고 지금 글로 설명해도 2줄은 요구된다......
ToC를 보면 (1), (2), (3) 원리를 그림으로 보여주고 어떤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는지 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정리되어 있다. (사실 이해될거 같지는 않지만 노력은 했다고 생각해요.......)
이러한 ToC를 잘 만들어 둔다면 연구설명, 학회 발표에서도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니 1개의 이미지 정도는 공을 들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3.2 Schematic illustration 이란?
이 또한 ToC처럼 어디까지가 illustration인지 ToC인지 정의가 명확하지는 않다. 다만 illustration는 주로 논문 중간에 연구에 대해 설명하거나 독자가 이해하기 어려울만한 개념을 그림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합성과정 or 핵심아이디어를 주로 illustration로 보여준다.
논문에 자신의 연구를 설명하려고 글을 쓰면 금방 느끼겠지만 생각보다 말로 표현하는 것이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나 합성 과정과 아이디어는 논문의 가치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이지만 생각보다 설명하기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럴때 주로 illustration를 만들어서 독자와 저자 둘다 편할수 있게 도와준다.

재료관련 연구에서는 합성 과정은 같은 분야를 연구한다면 설명하지 않아도 알지만 모르는 사람은 전혀 이해하기 난해할수도 있다.

연구의 핵심 원리도 마찬가지다 1저자를 제외하고는 자신의 연구의 온전한 방향을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나 사람들은 자신이 알고있는 것을 다른사람도 알고 있을것이라고 착각하는 경향이 있기에 이런 원리 illustration은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연구 분석법 > 이공계 논문 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초짜 탈출기 (이공계 논문 작성법) 2편_draft를 만들자 (1) | 2025.03.21 |
---|---|
논문 초짜 탈출기 (이공계 논문 작성법) 1편_연구를 시작해라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