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일상
- 그루데 이론
- 흡광
- drude
- 에디슨의 패배
- 라만 분석
- X선 기초
- X선 공학
- 특성스펙트럼
- X선의 발견
- 슬립계
- 전자의 속도
- laue
- 라만 현상
- 재료열역학
- 에너지 역학
- 빛의 손실
- 전기장이 가해진
- 라만 분석기
- 분해전단응력
- 결정립
- 화합물 반도체
- 결정구조학
- 재료과학
- 연속스펙트럼
- 3 o'clock things
- 륀트겐
- Raman
- von laue
- X선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08)
공머생의 공부노트

1. 실험 목적 시편의 경도측정법 중 하나인 로크웰 경도기를 숙지하고 금속재료(철, 알루미늄, 구리)의 경도를 측정하여 시편에 따른 경도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2. 이론 및 원리 일반적으로 경도는 변형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며 금속의 경우에는 국부 소성변형에 대한 재료의 저항성을 나타내는 저항의 척도이다. 경도는 상대적인 값으로 변형저항의 상태, 변형량, 저항측정 및 부하방법에 따라 종류가 다르나 주로 긋기, 반발, 압입경도의 3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이중 압입경도를 일반적으로 활용하는데 압입자를 사용하여 깨끗한 시료 표면을 누를 때 생기는 압흔의 변형 저항에 대한 측도를 나타낸다. 이 변형저항은 압입자에 의해 생기는 소성 변형의 크기 및 분포, 마찰, 탄성, 점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 압입자의 형태는 구..

1. 실험 목적 금속 시편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해서 관찰면을 균일하게 연마 후 광학현미경으로 금속의 미세조직을 관찰한다. 미세조직을 관찰함으로서 각각의 상, 결정립의 형상과 분포, 크기 및 결함등을 분석하여 기계적 성질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할 수 있다. 2. 이론 및 원리 2.1 미세조직의 중요성 미세구조에 따라 재료의 물리적 성질과 특히 기계적 거동이 변화한다. 금속 합금에서 미세조직은 상의 수, 비율, 분포 방식에 따라 특징이 나타난다. 합금의 미세조직은 합금 원소의 종류와 농도, 합금의 열처리(온도, 가열시간, 냉각속도) 등의 변수에 따라 변한다. 재료의 성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중에 미세구조는 결정구조나 결함과는 다르게 거시적이어서 비교적 간편하게 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2 연마..

1. 실험 목적 연강, Al합금, Cu합금 등 금속재료의 강도(항복강도, 최대인장강도), 연신율, 단면수축률, Stiffness, 탄성계수를 측정하여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분석한다. 2. 이론 및 원리 재료의 기계적 거동이란 외부 작용에 대한 재료의 반응 정도를 나타낸다. 즉, 외부의 힘과 이에 따른 재료의 변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주로 강도(strength), 경도(hardness), 연성(ductility), 강성도(stiffness) 등을 판단하게 된다. 2.1 공칭 응력과 공칭 변형률 재료에 가해지는 힘을 생각할 때 일반적으로 압축, 인장, 전단의 3가지로 분류하는데 이때 인장변형이란 시편을 양 끝에서 끌어당기며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편의 장축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인장하중을 점차적으로..

앞선 포스팅에서 기본적인 UV-VIS 분석법의 원리와 정의에 대해 다루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IY UV-VIS의 설계에 대해 고민해보자 https://yumy.tistory.com/34 실제 분광분석기의 구조 실험,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분광분석기들은 100만원부터 2억까지 그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단순히 화학종의 정량, 정성분석 뿐만이 아닌 FTIR, DRS 같은 특수한 기능이 들어간 장비들도 요즘에는 적절한 가격으로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드렇다고 해서 일반 고등학교나 영재학급에서 장비를 사용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분광분석기는 다양한 파장에서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방출하는 광원을 가지고 포토 다이오드나 CCD등을 통해 빛의 In tensity를 분석한다. 그렇기에 내부에는 빛을 내는 광원과..

분광분석법이란? 일반적으로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통한 분석을 하는 분석법중 하나로, 이전에는 가시광선(VIS), 자외선(UV)영역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빛의 범위를 늘려 방사선이나 X-ray등의 파장을 활용하는 분광법도 나오고 있다. 분광분석을 통한 시료의 분석은 가장 강력한 Tool중 하나로 시료의 손상 없이 타겟 물질의 정령, 정성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실험 설계에서는 UV-VIS Spectrophotometry를 중점으로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분광분석법의 기본 원리 분광분석은 크게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으로 나뉘는데, 정량분석은 시료의 양을 파악하고 정성분석은 시료의 종류를 파악하게 된다. 특정 파장의 빛이 시료를 통과하게 된다면 시료는 그 빛을 흡수하게 된다...

1.1 계와 주위의 정의 열역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기본적인 정의들부터 자세히 하고 넘어가자. 열역학에서는 우리가 관심을 가지는 대상을 System이라고 정의하며 그 밖은 Surrounding이라고 한다. 주로 열역학에서는 이런 System과 Surrounding과의 상호작용을 생각하는데, 둘 사이에 열이 오갔는지 일이 오갔는지가 주로 관심사다. 다시 말하면 계와 주위 사이에 작용가능한 상호작용은 일 또는 열밖에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기분해를 예로 들어보자. 전기분해는 물이라는 System에 배터리라는 Surrounding이 반응을 일으키게 해준것인데, 힘으로 민것도 아니고 밖에서 열을 가한 것도 아닌데 분명히 내부 계에서는 변화가 일어난다. 이런 반응은 주위가 계에 "전기"라는 매개체로 ..

2021 10 10 시험기간을 맞아서 오랜만에 고등학교 친구와 점심을 먹고 공부를 하고 왔다. 친구가 아이패드를 새로 샀다기에 사용법과 꿀팁을 설빙 하나에 교환하고 왔다. 망할 열역학 공부를 다 하고나니 갑자기 친구 집에서 내 집까지 버스타기 싫다는 생각이 들었다. 충장로에서 전대까지는 너무 멀다...... 그래서 카카오 자전거를 타고 오기로 했다 !! 출발한곳이 남광주 시장이라는데 정말 생각보다 머나보다. 엄청 걸렸다.... 그리고 자전거 도로가 잘 되어있었는데 들어가는 길을 몰라서 엄청 헤맸다 ㅠㅠㅠ 광주에서 21년간 살고있지만 이곳은 처음 와봤다.... 완전 새로운 경험들..... 결국 어찌어찌 도착은 했는데 택시비급으로 나오드라......🤔 아닌가 이정도면 싼건가?.... 암튼 재밌는 경험이었는데..

기숙사에 있으면서 심심해서 책을 읽기로 했는데 마침 저 책이 눈에 들었다. 사실 이거 읽겠다고 학기 초부터 들고왔던 책인데 이제야 읽었다. (연구실에 4달은 박혀있었다) 사이토 다카시라는 작가는 현재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의 소개를 더 들어보자면 일본 메이지대학교 문학부 교수. 도쿄대학교 법학부와 동 대학원 교육학연구과 박사 과정을 거쳤고 교육학, 신체론, 커뮤니케이션론을 전공했다. 2001년 출간된 『신체감각을 되찾다』로 ‘신초 학예상’을 수상했고, 『소리 내어 읽고 싶은 일본어』는 250만 부 이상 판매되면서 마이니치 ‘출판문화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그는 지식과 실용을 결합한 새로운 스타일의 글을 선보이면서 일본과 한국의 수백만 독자를 사로잡았다. 어려운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탁월한..